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명장 손무와 그의 손자인 손빈이 함께 3대에 걸쳐 저술한 병서 손자병법
계(計), 작전(作戰), 모공(謀攻), 군형(軍形), 병세(兵勢), 허실(虛實), 군쟁(軍爭), 구변(九變), 행군(行軍), 지형(地形), 구지(九地), 화공(火攻), 용간(用間)이 그것입니다.
작전(作戰) : 전쟁은 속전속결을 근본으로 삼는다는게 주제 입니다.
전쟁을 함에 있어서는, 서툴더라도 재빨리 결말을 지어야 한다는 말은 들었어도,
썩 잘하더라도 오래 끌어 성공한 예는 아직 보지 못하였다.
모공(謀攻) :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제일 이라는 것이 주제 입니다.
전쟁은 수단이며, 목적은 정치적 의도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라도 수단은 목적을 떠나서 생각할 수가 없다.
군형(軍形) : 싸우기 전 불패의 태세를 갖추라는 것이 주제 입니다.
싸움을 잘하는 자는 우선 적이 우리를 이길 수 없도록 만들고 나서, 우리가 적을 이길 수 있기를 기다린다.
적이 이길 수 없게 만드는 것은 나에게 달려 있고, 아군이 이길 수 있는 것은 적에게 달려있다.
그러므로 싸움을 잘하는 자는 적이 이기지 못하게 할 수는 있지만, 반드시 아군이 이길 수 있게끔,
적을 마음대로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승리를 예견 할 수는 있지만, 반드시 그렇게 할 수만은 없다’고 말한다.
修身齊家治國平天下 :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심신(心身)을 닦고 집안을 정제(整齊)한 다음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天下)를 평정(平定)함
업계 1위와 2위의 수장은 본인 배를 불리려다 역공을 당하고 있습니다.
집안을 정제한 곳이 어디인지 잘 살펴 서로 힘을 합쳐 천하를 평정하는 것이 대세가 될듯 합니다.
안전한 곳 어디인지 잘 살펴 보십시요....
다음시간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