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장·매장 선호…화장률 상승세

대만 롱옌그룹의 38만기를 수용할 수 있는 25층 납골당 '진용전' 전경
대만 롱옌그룹이 운영하는 38만기를 수용할 수 있는 25층 납골당 '진용전' 전경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놓고 미국과 중국 사이의 긴장감이 높아진 가운데 대만을 향한 관심도 커졌다.

대만은 중국과 비슷하면서도 약간 다른 독특한 관습을 갖고 있다. 대만에는 17~18개 부족이 어울려 살기에 부족별로 장례풍습이 다른 부분도 있다.

좁은 국토의 대만은 인구 밀도가 세계 2위(도시국가 제외)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다.

토지가 넓지 않기 때문에 토지의 효율적 이용이 절실하다. 대만 행정원 민정사(民政司)의 통계에 따르면 1993년도 화장률은 45.71%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 30년 가까이 대만 정부가 ‘사회풍습 바로잡기-장례 시설 및 의식 개선 프로젝트’와 ‘장례 시실 시범 프로젝트’에 따라 전국 곳곳에 납골탑, 장례식장, 화장터를 건설하고 화장로와 대기오염방지장비를 구입하며 화장문화의 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화장률은 급상승했다.

결국 2020년도의 화장률은 98.02%에 달했다. 사실상 거의 모든 인구가 화장에 임하는 수준이다.

화장이 급증하면서 납골당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대만인들이 장례의식을 중시하기 때문에 납골당도 한국보다 화려하다.

공원묘원 입구는 화려하게 치장되거나 외부 조경도 예술적으로 꾸민 곳이 다수이다. 고가의 납골당(2천~4천만 원)이 많으며, 투자 명목으로 몇 십 기를 사전 구매하는 이들도 있다.

대만은 최소 7일장을 치르기에 부고장을 우편으로 띄운다. 부의금을 낸 사람에게는 답례품을 제공한다. 조의금은 흰색 봉투에 넣어서 전달하며 조의금의 단위는 ‘홀수’로 하는 게 관례이다. 이 관습은 결혼 축의금 봉투는 빨간색으로 쓰고, 축의금 단위는 ‘짝수’로 하는 것과 대조된다.

한국 장례식에서 보이는 근조화환과는 색다르게 먹을 것으로 꾸며진 꽃 화환이 쓰인다. 

대만 장례문화에는 검골사(撿骨師)가 있다. 검골사는 한국으로 치자면 이장(移葬)을 해주는 사람과 비슷하다. 길일과 길시에 맞춰 검골 날짜를 정하고, 관을 열어 뼈를 줍는다. 모두 주운 뼈는 직접 항아리에 담아서 다시 묻거나 화장해서 유골함에 넣는다. 검골사는 금기를 어기거나 실수를 해서는 안 되고 망자의 가족을 존중해서 일을 신중히 처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상조장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