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의례위, 차례상 표준안 발표

성균관이 제시한 간소화된 상차림. 기름에 부친 전이 없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자료=성균관.
성균관이 제시한 간소화된 상차림. 기름에 부친 전이 없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자료=성균관.

앞으로 명절에는 전을 부치지 않아도 되는 것일까.

추석 연휴를 맞이하여 유교 전통문화의 총본산인 성균관이 명절 때마다 상차림의 적으로 지목되는 전을 부칠 필요가 없다고 선언했다.

음식 가짓수도 최대 9가지면 충분하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차례상 표준안’을 제시한 것이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지난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차례상 표준안을 살펴보면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적),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이다.

추가로 육류, 생선, 떡을 더할 수 있고, 상차림도 가족끼리 합의해 바꿀 수 있다.

조선시대 예학사상가인 사계 김장생이 쓴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를 보면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다’라고 쓰여 있다.

이에 따르면 기름을 써서 부치는 전은 예법에 어긋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성균관 측은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그간 차례상을 차리는 예법으로 인식된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와 ‘조율이시’(대추·밤·배·감)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상을 차릴 때 음식을 편하게 놓으면 된다고 성균관 측은 밝혔다.

조상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되고, 차례와 성묘의 선후도 가족이 의논해서 정하라고 조언했다.

최영갑 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차례는 조상을 사모하는 후손들의 정성이 담긴 의식인데 이로 인해 고통받거나 가족 사이에 불화가 초래된다면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닐 것”이라며 “후손들이 차례와 제사를 아예 지내지 않는 것보다 간소하게 지내는 것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해 (간소화를) 준비하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성균관이 표준안 마련에 앞서 지난 7월28~31일 20살 이상 일반 국민 1천 명과 유림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 국민(40.7%)과 유림(41.8%) 모두 ‘차례상 간소화’를 주요 과제로 꼽은 바 있다.

저작권자 © 상조장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