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 제시와 함께 소통으로 해법 찾아야

경기 화성지역의 광역화장장이 표류하고 있다. 서수원 지역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화장장 건립을 놓고 재판 중이다. 서수원 지역의 일부 주민들은 사생결단 식으로 반대하고 있다.

비단 서수원 일부 주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금은 지방 상생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서남권 추모공원'도 님비(NIMBY, Not In My BackYard)로 골머리를 앓았다.

님비란 '내 뒷마당에 혐오시설 설치는 안 된다'는 지역 이기주의를 말한다. 이기주의라고 이름 붙이기도 어려운 것이, 누구나 자신의 집 근처에 화장장이 들어서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화장장은 혐오시설로 여겨지는가?

우선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이다.

예로부터 죽음은 모든 것으로부터의 단절을 의미했다. 동양의 저승사자, 사신(死神)이라는 표현에서 느껴지는 어감은 부정적이다. 서양에서도 마찬가지로 죽음의 신은 해골의 형태를 하고 있다. 중세시절 서양을 휩쓸었던 페스트도 '죽음의 신'으로 지목됐다.

일차적으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혐오는 화장장 혐오로 이어진다.

▲화성 함백산 메모리얼파크 조감도

그 다음은 환경권이 침해된다는 인식에서 반대를 한다. 화장장에서 시신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화장장은 도심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한적한 곳에 터를 잡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성남화장장의 경우에도 고불산 한 켠에 자리잡고 있다.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모란역으로 차로 10여분 정도 가야한다. 서남권 추모공원 또한 전북 정읍시와 상당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정읍역에서 차로 20여분은 달려야 추모공원에 도착할 수 있다.

이처럼 주요 화장장이 한적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상황에서, 자기 주거지 근처에 화장장이 들어선다고 하면 날선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다.

가장 큰 거부감은 '재산권 침해'에서 비롯된다. 화장장 같은 혐오시설이 들어설 경우 집값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가장 크다. 환경권보다도 재산권 침해 차원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격렬하게 분출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역주민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서는 하나부터 열까지 '소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여기서 소통이란 무조건적이고 일방적인 소통이 아니라 지역주민들에게 인센티브라는 당근을 제시하는 소통이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무술년에도 화장장 건립을 위한 움직임은 이어질 것이다.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는 이들이 소통에 주력한다면 갈등의 실마리는 의외로 쉽게 풀릴지도 모른다.

<상조장례뉴스 김충현 기자>

저작권자 © 상조장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