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없이 부족한 화장시설에 수도권 골머리

지난해 전국 화장률이 88.4%를 기록하면서 이제 국민 10명 중 9명은 화장하는 시대가 됐다. 바야흐로 화장 전성시대다.

하지만 화장시설은 60곳에 불과해 수요에 비해 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이 같은 화장시설 부족은 서울·수도권 및 대도시권역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어 화장시설 건립이 시급하다.

하지만 대도시권역이 아니라 하더라도 화장시설 부족으로 고통을 겪는 주민들은 많다. 거주 지역에 화장시설이 없을 경우 원정화장을 떠나야 하는데 해당 지역 주민보다 6배나 높은 화장 비용을 치러야 한다.

이로 인해 장례업계 전문가들은 “화장시설을 신설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여기까지는 장례업계뿐만 아니라 원정화장 등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국민들도 동의하는 부분이다.

문제는 '어디에 지을 것인가'다. 화장시설 건립 계획만 세워지면 “당신 집 앞에 지어라”라는 문구와 함께 강한 항의가 빗발친다.

굳이 님비(NIMBY)라는 용어를 빌리지 않아도 주거지역 근처에 화장시설이 신설되는 것은 마땅치 않은 일이다.

전문가들은 “화장시설이 여전히 혐오시설로 낙인 찍혀 있으니 이를 짓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센티브를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2010년에 시립 화장시설 신축을 시도하다 좌절된 이천시는 100억 원이라는 막대한 인센티브를 약속하며 시립 화장시설 후보지 공모에 성공했다. 비록 인접 지자체와 입지를 놓고 갈등이 커지고 있지만, 2010년과 비교하면 후보지를 정했다는 것만으로도 진일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장례업계 한 전문가는 “사업자가 화장시설을 건립을 위해 무작정 뛰어들기에 앞서 지역주민들과 소통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큰 인센티브와 소통만이 님비를 돌파하고 화장시설을 건립할 수 있는 열쇠로 보인다.

저작권자 © 상조장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